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you're on your own, KIM

[WSJ] 트럼프: 캐나다-맥시코도 관세! (2025.03.04) 본문

카테고리 없음

[WSJ] 트럼프: 캐나다-맥시코도 관세! (2025.03.04)

성공킴 2025. 3. 4. 22:30

Trump’s Canada-Mexico Tariffs Take Effect

U.S. stocks fell in Monday afternoon trading after president’s remarks

By Gavin Bade, Santiago Pérez, and Vipal Monga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맥시코 상품에 대한 25% 관세는 화요일, 대통령이 미국 이웃 국가들과 더이상 협상할 여지가 없음을 발표한 이후 발효되었다.

 

"내일, 캐나다와 맥시코에 대한 25% 관세가 부과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래서 그들에게 관세를 부과할 거고, 솔직히 그들이 해야 할 건 차 공장과 다른 것들을 미국에 지어야 할 겁니다, 이 경우에는 관세가 없으니까요"

 

25%관세는 맥시코와 캐나다의 모든 수입품에 적용될 것이고 원유와 천연가스와 같은 에너지 상품에 예외가 적용될 것인데, 이것들은 10%의 관세가 부과될 것이다. 캐나다는 월요일 밤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retaliatory tariffs: 보복 관세

 

트럼프가 관세가 진행될 것이라고 말한 이후 미국 증시는 오후 거래에서 하락했다. 

 

트럼프는 이전에 해당 국가들이 펜타닐 밀반입과 이주 문제를 도와주기로 합의한 이후 관세를 연기했지만, 세 정부와 몇 주간의 대화에도 불구하고 마약 밀반입을 막기 위한 노력의 진전에 아직 만족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2월 부과한 10% 관세와 세계 두 번째 경제 대국에서 이미 시행 중인 기타 관세에 더해 중국 물품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상무부 대변인은 화요일 오전 (베이징 시간) 중국이 자국 이익 보호를 위한 대응책을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duties = tariffs

*countermeasures: 대응조치, 보복 조치

 

트럼프의 월요일 발표는 관세 회피 방법을 둘러싼 북미 정부 간의 협상을 무산시키는 것처럼 보였다.

*cap off: 마무리하다, 장식하다

*a flurry of: 많은, 잦은, 연속적인

 

캐나다 관리들은 지난주 워싱턴에서 미국 국경 책임자인 Tom Homan과 의회 의원들을 만나 트럼프가 우려하는 펜타닐과 이민 문제에 대응하여 캐나다가 국경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캐나다 이민부 장관 Marc Miller은 그들은 트럼프가 정확히 무엇을 원하는지 확신하지 못한 채 떠났다고 전했다. "그것은 움직이는 타겟이고, 굉장히 답답합니다"라고 말했다.

*press their case: (입장을)강하게 전달하다, 주장하다

 

트럼프는 캐나다와 맥시코에 International Emergency Economic Power Act (대통령이 국가적 비상상황임을 선포했을 때 대통령에게 관세와 경제적 제재에 대한 넓은 권한을 부여하는 1977년 법-비상경제국법)을 이용해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 이 법은 2월 중국에 대한 10% 관세 부과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법이며, 과거에 위협했던 캐나다와 맥시코 관세에도 마찬가지이다. 

 

트럼프는 1977년 대통령이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할 때 관세와 경제 제재에 대한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하는 국제 비상경제국법을 통해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 이 법은 2월에 중국에 대한 10% 관세 인상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3월 4일까지 연기된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위협에도 사용되었던 법이다.

*economic sanctions: 경제 제재

*kick down the road: 연기되다, 미루어지다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목요일 트럼프 행정부 관리들과 무역 통화를 위해 모였다. 한 달 전 펜타닐에 대한 관세 위협이 북미 공급망을 위협할 때와 마찬가지로. 그러나 이번엔 주최자가 달랐고 결과도 덜 만족스러웠다. 

*takeaway: 핵심, 결론

백악관 비서실장 Susie Wiles 대신, 상무장관 Howard Lutnick이 이야기했다. Wiles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에게 미-맥시코-캐나다 협정(NAFTA 2020년 개정) 준수 차량에 대해 행정부가 예외 조치를 고려할 것이라고 확신을 주었으나, Lutnick는 그러한 제안을 하지 않았다고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은 말했다. 결국 참여자들은 트럼프가 무엇을 할지 불확실한 상태에서 떠나야 했다. 

*carve-outs: 예외, 면제

*overture: 제안, 제시, 접근

 

백악관은 두 달 동안 산업과 무역 파트너에 주는 메시지가 바뀌었음을 부인했다. 행정 관료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에 관한 두 회의 간 "메시지의 모순이나 변화는 없었다"고 말했다. 

멕시코 대통령 Claudia Sheinbaum은 월요일 트럼프가 관세에 대한 결정을 내리길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캐나다 총리 Justin Trudeau는 지난 월요일 자국 정부가 약 $100 billion 규모의 미국 수입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국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국경 보안과 펜타닐 밀매(이것이 트럼프가 자국의 이웃을 겨냥한 큰 규모의 관세가 필요하다고 한 이유이다)에 관한 우려에 에 빠르게 대응했다고 말했다. 

캐나다는 이 정당성 없는 결정을 대응 없이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으며, 미국 국경에서의 캐나다산 펜타닐 압수량이 전월 대비 급감했다고 덧붙였다.

*fentanyl trafficking: 펜타닐 밀매

*go unanswered: 대응 없이 넘기다

*fentanyl seizure: 펜타닐 압수

*plunged: 급감하다, 급락하다

 

정리)

미국이 주변 이웃 국가들에 대한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한 이유: 국경 보안과 팬타닐 밀매

캐나다는 이에 대응하여 보안을 강화했고, 그 결과 펜타닐 압수량도 급감했다. (즉, 우리는 너희가 원하는 것을 들어주고 빠르게 대응했다) 그런데 왜? 관세를 계속 부과하겠다는 것이냐? -> 가만히 있지 않겠다 (보복 관세)

 

맥시코는 이주와 펜타닐 밀매를 방지하기 위해 조치를 취하는 것과 더불어 범죄자 집단과 연관되어 있다는 사람들에 대한 체포를 늘렸다. Sheinbaum은 멕시코는 트럼프의 어떠한 결정에도 대응하기 위한 준비가 되었다고 말했다. "협력은 있을 것이지만, 종속/복종은 없다"고 그녀는 말했다. 

*subordiantion: 종속, 복종

 

재무부 장관 Scott Bessent는 금요일 Bloomberg TV에서 멕시코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미국과 같은 관세를 부과하는 "매우 흥미로운 제안"을 했다고 말했다. "그도 멕시코가 국경 일을 잘 한 것을 알고 있는데, 그들은 펜타닐에 대해서는 충분하지 못했다. 대통령이 그걸 어떻게 볼지 지켜보자"고 Lutnick은 CNN에서 말했다.

중국에 대한 추가적인 관세는 더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중국 정부 간의 협력은 부족한 상태이다. 

*scant: 부족한

 

중국산 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10% 관세 상승은 트럼프 1기 관세를 모두 합친 연간 관세 수익보다 더 큰 $86 billion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분석 회사 Trade Partnership Worldwide는 밝혔다. 그 합계는 미국의 2024년 모든 관세 수입을 다 합친 77 billion 달러보다 더 큰 것이다.

중국은 지난 달 미국에 보복 관세를 부과했고 미국 기업들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open probes into: ~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다. 

베이징은 미국의 펜타닐 위기에 책임이 있다는 혐의에 대해 반박했다. 트럼프에게 큰 양보를 하지 않고 트럼프의 10% 추가 관세에 대해 조심스럽게 대응하며, 베이징은 나중에 미국과의 협상을 할 준비를 하며 장기적인 게임을 하고자 하는 의도를 나타낸다고 분석가들은 말한다. 

*deflect 피하다, 반박하다

*charge 비난, 혐의

*forego: 포기하다, 생략하다

*concession 양보

 

국가 경제 위원회는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를 제기했다고 논의에 대해 아는 사람이 말했다. 다른 관계자들은 관세가 처음 부과한 관세가 가격을 상승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에 미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

생각 정리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발표 이후 각 나라에서 협상을 하고자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캐나다와 멕시코도 노력했지만, 결국 피할 수 없었고 미국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해 보복 관세를 시행할 준비를 하고 있다. 이렇게 무역 긴장이 높아지면 글로벌 공급망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역에 큰 영향을 받는 자동차 산업 등은 무역 전쟁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보인다. 

관세의 상승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은 아직 잘 모르겠다...과연...?